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inux
- 설정
- logstash
- 엘라스틱서치
- error
- 구글
- mariadb
- ssh
- AWS
- sample
- 영어
- JavaScript
- unity
- nodejs
- docker
- Python
- elasticsearch
- Ai
- Git
- API
- Windows
- Kibana
- s3
- ChatGPT
- build
- JS
- MSSQL
- MySQL
- 유니티
- Today
- Total
목록개발 이야기/개발툴 및 기타 이야기 (81)
가끔 보자, 하늘.
인생 처음 참가해 본 행사. 게임을 만드는 직종에 종사하고 있었기에 게임 개발 대회 같은건 생각도 안해봤다. 그리고 당일 모든 작업을 마쳐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힘들지 않을까 했는데.. 이 행사는 aws의 시스템을 잘 활용한 예제를 만들기 위한 행사였기에 사전에 가능한 많은 준비를 해오길 원했던 것!! 그걸 행사 5일전에 겨우 알았고, 나와 나의 팀원 1명은 화요일에 이 행사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성하기 시작했다. 처음이고 하니 입상보다는 차기작에 AWS 도입을 위해 공부를 하자는 취지로 시작. 나중에 생각해보니 같이 참여한 팀원은 디자이너 였기 때문에, 아마 입상했으면 하는 생각과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 볼 기회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그런데 막상 3등 (그것도 1등이 2팀에 11팀 신청에 최종 남은..
Facebook Unity SDK 6.0 을 받아 패키지를 설치하고, 샘플을 돌려보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 Could not securely load assembly from https://integrated-plugin-canvas-rsrc.fbsbx.com/rsrc/unity/lib/sdk_6.0/CanvasFacebook.dll FB.cs 파일 line 411에 전처리기 "#if UNITY_4_5" 를 찾아 그 뒤에 " || UNITY_4_6 || UNITY_5_0 || UNITY_5" 를 붙여줄 것! 현재 버전 define만 붙여도 됨. http://forum.unity3d.com/threads/facebook-sdk-assembly-cannot-be-loaded.264126/ 커뮤니티에서 ..
* 정적으로 사용된 리소스 : 특정 씬에 포함된 리소스는, 빌드 시 해당 씬을 포함하면 배포되는 기본 파일에 포함됩니다. * 동적으로 사용된 리소스 : 동적으로 로딩되는 리소스는 아래 몇가지 방식으로 동적 로딩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Resources 라는 폴더명을 만들어 리소스를 넣어두면 기본 파일에 포함됩니다. Resources.Load 함수로 동적 로딩 할 수 있습니다. >> Resources 폴더는 여러개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후 이 폴더명 안에 있는 리소스들은 빌드 시 하나로 합쳐지는데, 같은 파일명이 있으면 문제가 됩니다. 파일명이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AssetBundle 파일을 이곳에 넣어둘 수 있습니다. AssetBundle.CreateFromFile..
적지 않은 시간 동안 Google Drive로 문서를 만들어 내용을 정리해왔지만, 협업을 위해 사용한 적은 없었다. Google Drive는 그냥 좀 느린, 공짜 문서 도구 였을 뿐이었는데.. 어제 원격의 누군가와 이야기 하면서 회의 내용을 드라이브에 정리했는데, 그 사람쪽도 같은 페이지를 보면서 정리해다. 그런데 이게 왠일??? 둘이 실시간으로 문서를 같이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된 내용은 바로 동기화 되었다. 게다가 서로 수정한 내용이 히스토리로 남아서, 멀리 떨어진 이와 역동적으로 회의를 진행했다. 여기에 행아웃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했는데, 마이크와 화상으로 이야기를 해서, 회의 내내, 손은 바쁘게 채팅 메세지를 적지 않아도 되었다. 혼자만 쓰다가 이렇게 활용해보니 완전히 신세계가 아닌가. 상대방..
인터넷 라디오 프로토타입을 완성. 실행 후 버튼을 누르면 채널이 변경되도록 만들었다. 일단 회로도 구성은 아래와 같다. 아직은 버튼이 하나라 간단하다. YELLOW BUTTON : 3.3V로 전원이 들어가고 10K옴을 통해 버튼으로 들어간다. 위 그림에서 위 오른쪽 다리 방향으로 GND로 이어지고, 버튼의 입력은 18번 핀으로 받도록 설정했다. 18번 pin은 wiringPI에서 5번이다. 실행 후 노란 버튼을 누르면 미리 입력된 채널이 변경되도록 했다. mms 출력을 위해 mplayer를 사용하며, mplayer 설치 방법 을 참고하기 바란다. 코드는 아래와 같다.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 (void) { if(-1..
이전에서는 LED를 주기적으로 깜밖이는 것만 했었다. 이번에는 두가지를 복합적으로 해봐야겠다. 이거 다음엔 바로 인터넷 라디오로 간다. -0-a 일단 오늘의 보드는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LED : 11번 핀에서 입력을 받아 330옴 저항을 통해 LED의 긴다리(+)로 연결되고 짧은다리(-)에서 GND로 나간다. YELLOW BUTTON : 3.3V로 전원이 들어가고 10K옴을 통해 버튼으로 들어간다. 위 그림에서 위 오른쪽 다리 방향으로 GND로 이어지고, 버튼의 입력은 18번 핀으로 받도록 설정했다. Raspberry pi2 이름로 각 핀의 wiringpi 번호는 아래와 같다. 개발 목표는 버튼을 누르면 10초간 LED가 켜지고, 지정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한다. 출력 중 입력이 다시 들어오면 기존의..
gpio의 helloworld 예제인 블링크를 wiringPi를 이용해 샘플을 실행해 봤다. 일단 wiringPi lib 설치부터... 아래와 같다. 설치 1. git 설치 sudo apt-get install git-core 2. wiringPi 프로젝트 다운 git clone git://git.drogon.net/wiringPi 3. build clone한 위치에 wiringPi안에 들어가서 ./build 실행. 빌드가 이상없이 되었다면 "find / -name "gpio"를 실행해 보자. "/usr/local/bin"과 방금 빌드한 곳, 두 곳에 gpio를 발견할 수 있다.빌드한 곳 gpio 폴더 안에서 ./gpio -v 한 결과와, gpio -v 한 결과가 다르다면 gpio 파일을 "/usr/lo..
이 글은 개인적으로,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한 첫번째 프로젝트이다. 아내가 집 안쪽에서 라디오 안잡혀서 힘들다고 불평이었다. ipad에 라디오 어플을 설치해줘도 각 방송사마다 별도 어플을 설치해야 되서 힘들다고.. 고민끝에 라파이로 라디오를 만들어주기로 했다. 그래서 최근에 라파이를 구매했고, 오늘 라이브러리 설치해서 테스트까지는 했다. 과정은 아래와 같다. (* 아래 과정은 http://kocoafab.cc/tutorial/view/340 블로그의 내용을 참고해서 제작되었으며, 짧은 진행을 위해 불필요한 과정 생략, 내 환경과 틀린 부분을 수정하여 제작되었음을 알립니다.) (* command의 모든 과정은 sudo 명령을 먼저 입력하고 진행하자. 혹은 귀찮다면 나처럼, sudo su를 입력해서 권환을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