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ython
- 엘라스틱서치
- MySQL
- AWS
- 영어
- s3
- logstash
- Ai
- Linux
- error
- ssh
- 유니티
- sample
- unity
- Git
- JavaScript
- mariadb
- Windows
- 구글
- elasticsearch
- ChatGPT
- JS
- nodejs
- build
- API
- MSSQL
- 설정
- Kibana
- docker
- Today
- Total
목록개발 이야기/개발툴 및 기타 이야기 (80)
가끔 보자, 하늘.
쿼리 브라우져에서 sp가 안보이는 현상 발생. CentOS , Mysql. 5.6.x, [발생 상황]- sp를 실시간으로 수정하기 위해 sp 수정해서 실행을 누름. - 때마침 DB 부하 테스트 중이었는데 ... - sp 수정을 위한 실행이 멈춤. 응답없음으로 돌변- 시스템 재부팅 해봄. - 디스크 용량 부족을 확인함.- 디스크 정리. 이제 다른 DB는 다 보이는데, 내가 작업하던 DB만 안보임. show procedure status 때려보니 일단 존재는 함. 휴~~~ show create procedure sp이름; 해보니 내용도 잘 존재함. 휴~~~ 근데 왜 쿼리 브라우져에서는 sp가 안보이는거지?? --;; 리플레쉬하니 나오네.. ㅋ
샘플 이미지는 이걸로... gameadvence에서 잴 좋아했던 게임 advence war의 타일과 기본 캐릭터로... 배경 설정부터.. 화면이 열리면 상단의 기본 메뉴들과 (load, save, new 등등) 오른쪽에 붙은 entities와 collision메뉴가 나온다. 상단의 new 를 누르고, 배경을 만들어보자. 우측의 Layers옆에 + 기호가 있는데 이걸 누르면 새로운 레이어를 추가할 수 있다. 하단의 delete 버튼으로 현재 선택된 레이어를 삭제할 수 있다. 일단 타일 사이즈는 16 (16 by 16으로 세팅됨.), dimensions는 40x40으로 세팅 후 "apply changes"를 클릭하면 화면이 적용된다. Name에 레이어의 이름을 넣고 tileset을 누르고 사용할 타일 이미지..
console 모드에서는 msbuild로 sln 파일 빌드 잘 되는데.. 당췌 ... cruiseControl하면 빌드 중에 왜 링크에러가 나는거야. ㅠ_ㅜ 미치것네. 일단 지금까지의 정리. 빌드 PC는 windows7 pro K , 64bit , vs9 sp1 , 프로젝트는 32bit 결과물로 만듬. ccnet.config에 executable에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msbuild.exe 세팅하고 빌드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error MSB5014: 파일 형식 버전을 인식할 수 없습니다. MSBuild는 7.0버전에서 9.0버전까지의 솔루션 파일만 읽을 수 있습니다." 혹시나 해서 framework64로 지정해도 같은 에러. (..
개발버젼 리소스 SVN에서 최종 배포 버젼의 리소스 SVN (보안을 위해 최종 배포 버젼의 리소스 SVN은 별도의 네트웍에 보관되는 형태를 취함.)에 데이타를 패치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1. 지난 마지막 배포 버젼과 패치할 버젼을 선택하고 "compare revisions"를 선택한다. 2. 모든 파일을 선택하고 "Export selection to ..."를 선택한다. 사실 Action이 "Deleted"된 파일은 export 되지 않는다. 3. export할 폴더를 지정하면 수정, 추가된 파일들이 추출된다. 4. 다른 SVN에 export된 파일을 덮어 씌운다. - 삭제된 파일에 대한 처리는 수동으로 해야 한다. 리스트야 뽑아올 수 있지만 상당히 귀찮다. -_- - 같은 저장소의 branch나 pat..
최근 업데이트 이후 Notepad++에서 한글이 갑자기 안나오기 시작했다. langs.xml 못찾는다는 에러도 있었는데 귀찮아서 재설치하니 해결되었고 한글은 여전히 깨져 나와서 왜 그런가 했더니 font 설정 문제였다. 설정 -> 스타일 환경 설정 안에 "글꼴 스타일"에서 글꼴을 선택하고.. "전역 글꼴 사용"을 체크하면 된다. windows7 64bit / Notepad++ v5.9.2 (UNICODE)
doxygen 1.7 버젼으로 코드 문서화 검토 중인데 한글 관련 옵션은 버젼 별로 자주 바뀌네요. 1.7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정하시면 됩니다. DOXYFILE_ENCODIN --> UTF-8 output language --> korea INPUT_ENCODING --> UTF-8 테스트 결과 어떤 파일은 UTF-8로 처리해야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문서화 중 에러는 발생하며 중단되기도 하네요. 하지만 오픈소스를 사용하실 경우는 INPUT_ENCODING 을 UTF-8로 하시던가 기본으로 비워두시는 방법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2013.02.14======역으로 최근 버전에는 UTF-8로 되어 있는데, 코드 자체가 ANSI로 저장되어 있다면, 위 옵션 모두를 CP949로 변경하면 한글이 모두 정상적으로..
http://www.mongodb.org/display/DOCS/Building+with+Visual+Studio+2008 Building with Visual Studio 2008 Get the MongoDB Source Code Get Boost Libraries Get SpiderMonkey Building MongoDB from the IDE Install SCons Building MongoDB with SCons Troubleshooting MongoDB는 VC++를 사용해서 윈도우(32 and 64bit)환경에 컴파일 됩니다. SCons는 빌드 처리를 도와는 것이며, 이걸 통해 생성된 솔루션 파일은 VSI를 사용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 포함... 이 프로젝트는 아래 리스트에 ..
VSI 상에서 기본적인 메모리 릭 찾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것이 있습니다. _CrtSetDbgFlag( _CRTDBG_ALLOC_MEM_DF | _CRTDBG_LEAK_CHECK_DF ); 이 코드를 프로그램 시작 위치에 기록 한 후 메모리 릭이 발생하면 출력창에 아래 예와 비슷한 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 normal block at 0x0433A1E0, 32 bytes long. Data: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normal block at 0x04338220, 28 bytes long. Data: 38 59 99 04 FF FF FF FF 00 00 00 00 00 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