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hatGPT
- Git
- 구글
- 영어
- Kibana
- Python
- error
- MSSQL
- nodejs
- elasticsearch
- 엘라스틱서치
- s3
- logstash
- Windows
- JS
- sample
- mariadb
- AWS
- 유니티
- Ai
- Linux
- 설정
- unity
- build
- JavaScript
- API
- MySQL
- ssh
- docker
- Today
- Total
목록개발 이야기/개발툴 및 기타 이야기 (80)
가끔 보자, 하늘.
간혹 툴 재시작 하다보면 "CreateExport: Failed to load ..." 에러 나면서 만들어둔 클래스 안보이고 BP 깨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처음 당해보니 방법을 몰라서 엄청 짜증 나더군요. 리소스 다시 만들기도 해야되고 빌드 에러는 없는데 정상 작동은 안되는 것 같고.. 저는 VS 에서 빌드시 "Editor Win64 Development Build"를 하고 툴을 재시작하니 정상적으로 인식하더군요. 다른 옵션으로 빌드하면 제대로 인식이 안되서 한동안 엄청 곤혹스러웠습니다. 끝!!
관련된 UE5 공식 문서 링크 아래는 chatGPT4 의 답변 내용입니다. UPhysicsHandleComponent는 언리얼 엔진(UE)에서 물리 기반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컴포넌트 중 하나입니다. 이 컴포넌트는 게임 오브젝트를 특정 위치로 이동하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물리적인 조작을 수행하는 데 유용합니다.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물체 들기 및 던지기: UPhysicsHandleComponent는 물체를 특정 위치에 들거나, 들다가 던지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됩니다. 플레이어나 게임 오브젝트의 상호작용에 사용되며, 물체를 들고 이동시킬 때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물체 연결: UPhysicsHandleComponent를 사용하여 두 물체를 서..

Log 출력 (상세 내용은 이 링크로..) UE_LOG(LogTemp, Display, TEXT("Distance: %f"), movingDist); 툴 UI 글씨 크기 조정. 4k 모니터에서 글씨가 너무 작으면 보기 힘들다. Widget reflector에서 Application Scale을 1.5로 저정하면 툴의 UI 크기를 좀 더 크게 볼 수 있다. Live Coding 중 작업한 내용이 툴을 재시작했을 때 안보인다면... 다시 리빌드 하면 보인다. 하지만 마지막 설정한 값이 사라진 경우가 있다. 이때는 저장하지 말고 툴을 종료 후 VS에서 프로젝트를 빌드하여 마지막 설정했던 값이 잘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후 빌드, 그리고 다시 툴을 열어서 확인한다. 만약 같은 문제가 반복되거나 라이브 코딩 시 다..

https://stability.ai/news/stable-zero123-3d-generation?fbclid=IwAR3XuAFOQzLizSvOyMnvfb7NT0XHmaVRg_f7n8bxSUzCZ7gYexBjtA9-ySA Introducing Stable Zero123: Quality 3D Object Generation from Single Images — Stability AI Stable Zero123 is an AI-powered model for generating novel views of 3D objects with improved quality. Released for non-commercial and research purposes, it uses an improved dataset an..

한 폴더에 작업이 필요한 이미지를 넣은 후 필요한 workflow에서 하나씩 이미지를 처리하려고 할 때 Load Image batch 노드와 Extra options의 Batch count를 이용하면 됩니다. "Load Image Batch"노드는 https://github.com/WASasquatch/was-node-suite-comfyui 를 설치하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mode를 "single_image"로 지정할 경우 지정한 index의 이미지만을 사용합니다. "incremental_image"로 지정하면 지정한 index부터 순차적으로 1씩 인덱스를 증가시키며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그런데 이렇게 노드를 구성하고 "Queue Prompt"를 선택하면 하나의 작업만 수행됩니다. 물론 다시 "Queu..

마지막 찍먹 시간으로 게임 플레이 레벨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GameMode에는 BP_GamePlay_GameMode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등록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값이 설정된 내용은 별도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 BP의 내용을 볼 때는 ConstructionScript, Event Graph를 중심으로 보면 됩니다. 이곳에서 BP에 등록된 Variables와 Functions를 사용해 필요한 로직을 구현합니다.) Player Controller Class에는 BP_Gameplay_PlayerController가 등록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Variables에 등록한 Widget, PlayerHud를 생성합니다. (EventOnPlayerJoin, OC_UpdatePl..

이 샘플에는 총 4개의 Level이 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M_Mainmenu : 멀티 플레이 메뉴. 호스트로 선택 후 싱글 플레이 하거나 조인할 유저 기다렸다가 멀티 게임하기 M_Lobby : 게임 시작 전 대기실. 캐릭터 및 맵 선택 메뉴 M_Demo, M_Demo2 : 게임 플레이 레벨 찍먹 중이라 싱글 플레이 부분만 검토해 볼 예정이라 M_Mainmenu는 건너띄겠습니다. 오늘은 바로 M_Lobby를 알아보겠습니다. 툴 화면. 중앙 4개의 객체는 멀티 플레이 시 최대ㅣ 4인의 캐릭터를 배치하는 포인트입니다. 실행된 화면. 테스트 하느라 이미 모든 캐릭터를 개방한 상태입니다. 처음 실행했다면 왼쪽 캐릭터 리스트의 색이 다르게 나오고 구매 가격이 같이 출력됩니다. 실행되면 왼쪽 화면처럼 노락색으로 ..

본격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Blueprint(이하 BP) 관련된 내용을 먼저 정리해 보았습니다. 저처럼 unreal engine이 처음인 분들은 툴 사용법과 BP에 대해서도 한번 보면 좋을 듯 합니다. 이미 bp를 잘 알고 계신다면 가볍게 패스하시면 됩니다. ^^a BP의 종료 (공식 문서 링크) BP는 아래와 같은 종류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Level BP라는 것도 있습니다. 예전 버전에서는 Kismet이라는 용어로 사용된 듯 한데, 현재 레벨에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능은 다른 BP와 동일합니다. 참고로 우리가 살펴볼 샘플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BP 중 class와 macro libaray를 생성하면 Parent class를 선택하는 창이 나옵니다. macro library는 다른 BP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