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보자, 하늘.

스테이블 코인, 그리고 본문

넉두리, 번뇌/재테크-투자 잡소리

스테이블 코인, 그리고

가온아 2025. 7. 22. 09:00
스테이블코인: 미래의 통화 대체재가 될 수 있을까?

당신도 생각해봤을걸... 10년전 비트코인을 샀더라면...

얼마전 USDT를 실거래에 쓴다는 이야기를 듣고나서 깜짝 놀랐다. 벌써?!! 난 한번도 실물로 쓴 적이 없는데? 거짓말 아닌가??

며칠 전 미국의 지니어스 법안이 통과되고 나서 잡코인들이 오르는 걸 보면서 또 충격!! 도대체 왜?? 너넨 스테이블 코인도 아닌데?? 이 동내는 도대체가 어떻게 돌아가는 걸까?

스테이블코인: 미래의 통화 대체재가 될 수 있을까?

서론: 디지털 화폐 시대의 서막, 스테이블코인의 부상

2025년, 글로벌 금융 시장의 지형도가 근본적으로 재편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 있다. 2014년 ';가격이 고정된 코인'이라는 단순한 아이디어로 출발했던 이 디지털 자산은 이제 단순한 암호화폐를 넘어, 전통 금융 시스템의 근간을 흔드는 거대한 흐름으로 발전했다. 2025년 7월 기준, 스테이블코인의 총 시가총액은 약 2,6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이는 2020년 초 200억 달러 수준에서 불과 5년 만에 10배 이상 폭증한 수치다. 씨티그룹(Citigroup)과 같은 주류 금융 기관들은 2030년까지 시장 규모가 보수적으로 1조 6천억 달러, 낙관적으로는 최대 3조 7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그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배경에는 단순한 투기적 수요를 넘어선 구조적인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 2025년 7월 18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에 서명하면서, 스테이블코인은 마침내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의 제도권 안으로 편입되는 역사적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게 100% 준비금 보유 의무, 정기적인 회계 감사, 명확한 소비자 보호 장치 등을 요구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에 전례 없는 수준의 규제 명확성을 부여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이 더 이상 금융 시스템의 변방에 머무는 존재가 아님을 공식적으로 선언한 것과 같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에게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과연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고유의 변동성을 극복하고, 국경을 넘어 가치를 이전하는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화폐 시스템을 위협하는 진정한 '대체재';가 될 수 있을까? 본 글에서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이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와 각국의 주권통화를 대표하는 '한국 원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글로벌 무대에서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패권을 위협하는지, 혹은 역설적으로 강화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확산 속에서 한국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서두르는 이유와 그 전략적 의미, 그리고 성공을 위한 과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스테이블코인이 미래 통화 시스템의 한 축으로 자리 잡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내재적 리스크와 본질적 한계를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금융 지형에서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전망하고자 한다.

글로벌 무대: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패권을 위협하는가, 강화하는가?

스테이블코인의 등장은 글로벌 통화 시스템의 심장부인 미국 달러의 지위에 대한 오랜 논쟁에 새로운 불을 지폈다. 한편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이 제공하는 압도적인 효율성이 국경과 중개자를 초월하여 달러 중심의 낡은 금융 질서를 대체할 것이라 주장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오히려 스테이블코인이 달러의 영향력을 디지털 세계로 확장시키는 가장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라는 상반된 분석을 내놓는다. 이 장에서는 두 가지 상반된 시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현재의 흐름이 가리키는 방향을 진단한다.

1. 달러 대체 가능성: 효율성 혁명과 새로운 금융 인프라

스테이블코인이 달러를 대체할 수 있다는 주장의 핵심 근거는 ';효율성'이다. 기존 금융 시스템이 수십 년간 해결하지 못한 고질적인 비효율성을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다.

국경 간 결제 혁신

현재 국제 송금의 표준으로 사용되는 SWIFT(국제은행간통신협회) 망은 여러 중개은행을 거치기 때문에 최종 정산까지 수일이 소요되며, 복잡한 절차로 인해 높은 수수료가 발생한다. 반면,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24시간 365일, 국경에 상관없이 거의 즉각적인 거래가 가능하다. 수수료 또한 기존 시스템의 몇 분의 일 수준으로 저렴하다. 딜로이트(Deloitte)는 보고서를 통해 토큰화된 결제 시스템이 기존 대비 거래 비용을 최대 53%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분석했으며, 이는 특히 막대한 규모의 기업 간 거래나 해외 송금 시장에서 파괴적인 혁신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핀테크 기업 모인(Moin)이나 리플(Ripple) 등은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기존 해외 송금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핀테크경제신문, .

디지털 경제의 기축통화

스테이블코인은 이미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 DeFi는 은행과 같은 중앙 중개기관 없이 스마트 계약을 통해 대출, 예치, 파생상품 거래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이 생태계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변동성 자산만으로는 안정적인 금융 활동이 불가능하다. 스테이블코인은 가치가 안정적인 교환 매개, 담보 자산, 회계 단위로 기능하며 DeFi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 앰버데이터(Amberdata)의 분석에 따르면, 탈중앙화 거래소(DEX) 유동성의 거의 절반을 스테이블코인이 차지할 정도로 그 역할은 절대적이다. 즉, 디지털 자산 경제라는 새로운 영토에서 스테이블코인은 이미 사실상의 '기축통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셈이다.

기업 및 기관의 채택 가속화

스테이블코인의 잠재력은 더 이상 암호화폐 시장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아마존, 월마트와 같은 글로벌 유통 대기업들은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통해 연간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신용카드 결제 수수료(매출의 2~3%)를 절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JP모건체이스는 'JPM 코인'을 통해 기관 간 결제 시스템을 테스트하고 있으며,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는 자사의 결제 네트워크에 USDC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연동하며 새로운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스테이블코인이 단순한 투자 자산을 넘어, 실물 경제의 혈맥인 결제 및 정산 시스템의 근간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CB인사이츠는 이러한 주류 금융 기관의 진입과 실물 경제 사용 사례 확대를 근거로 2025년 스테이블코인 관련 기업 투자가 2024년 대비 1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2. 달러 패권 강화론: '디지털 달러'의 확장

그러나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이 곧 달러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반론이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오히려 스테이블코인이 달러의 지배력을 디지털 영역으로 확장하고, 21세기형 패권을 공고히 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크립토머캔틸리즘(Cryptomercantilism)'의 등장

유럽의회 경제통화위원회 보고서는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육성 전략을 '크립토머캔틸리즘'이라는 새로운 용어로 정의했다. 이는 미국이 달러에 연동된 민간 스테이블코인을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켜, 디지털 결제망을 통해 자국의 통화와 자산(미국 국채) 사용을 촉진하는 현대판 중상주의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미국 정부와 의회는 초기의 경계심을 버리고 스테이블코인을 위협이 아닌 '미국의 전략 자산'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2025년 통과된 '지니어스 법안'은 이러한 전략의 결정체다. 이 법안은 미국 내에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만 합법적으로 유통되도록 제도화함으로써, 사실상 디지털 화폐 시장의 표준을 달러로 고정시키는 효과를 낳는다. 이는 달러 패권에 대한 잠재적 도전을 사전에 차단하고, 디지털 금융 시대의 주도권을 선점하려는 고도의 전략으로 해석된다.

미국 국채 수요 창출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패권을 강화하는 가장 직접적인 메커니즘은 미국 국채에 대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다. 현재 시장의 약 90%를 점유하고 있는 테더(USDT)와 서클(USDC)은 이용자로부터 받은 달러를 담보로 코인을 발행하며, 이 준비금의 대부분을 현금 및 단기 미국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으로 보유한다. 예를 들어, 테더는 2025년 기준 약 1,000억 달러 이상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독일(880억 달러)이나 멕시코(958억 달러)보다 많은 규모다. 이는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사용자들이 간접적으로 미국 국채를 매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낳는다. 중국, 일본 등 기존의 주요 국채 매입국들이 보유량을 줄이는 상황에서,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미국의 막대한 부채를 소화해 줄 새로운 '큰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미국 정부의 재정 운용 유연성을 높이고 국채 금리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며, 결과적으로 달러 시스템의 안정성을 강화한다.

2025년 7월 주요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비교. USDT와 USDC가 시장의 약 87%를 차지하며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압도적 지배력을 보여준다. (데이터 출처: CoinGecko, DefiLlama 등 종합)

달러의 새로운 유통 채널

스테이블코인은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도 전 세계 어디서든 달러 가치를 보유하고 전송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특히 자국 통화가 불안정하거나 금융 인프라가 낙후된 개발도상국에서 강력한 매력으로 작용한다. 아르헨티나, 터키, 나이지리아 등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국가의 국민들은 자산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들에게 스테이블코인은 복잡한 환전 절차나 자본 통제 없이 달러에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달러' 그 자체다. 이처럼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했던 영역까지 침투하여, 달러의 글로벌 유통망을 더욱 빠르고 깊숙하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3. 소결

종합적으로 볼 때, 현재 스테이블코인은 달러를 '대체'하는 파괴적 혁신이라기보다는, 달러의 기능을 디지털 시대에 맞게 '확장';하고 '보완'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국경 간 결제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DeFi라는 새로운 금융 시장을 개척하는 등 혁신적인 측면이 분명 존재하지만, 그 기반은 여전히 달러와 미국 국채라는 전통적인 신뢰 자산에 깊이 의존하고 있다. 미국의 '지니어스 법안' 통과는 이러한 흐름을 제도적으로 확정한 결정적 사건이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의 지위를 위협하기보다 오히려 공고히 하는 '디지털 달러 제국'의 첨병 역할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진정한 의미의 통화 패권 경쟁은 스테이블코인과 달러의 대결이 아니라, 제도권으로 편입된 '디지털 달러'와 향후 본격적으로 등장할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CBDC)', 유럽의 '디지털 유로' 등 국가 주도 디지털 화폐 간의 경쟁이 될 것이다. 스테이블코인은 그 새로운 전쟁의 서막을 연 셈이다.

한국의 딜레마: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통화주권을 지킬 수 있을까?

글로벌 무대에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디지털 달러'로서 영향력을 확장하는 동안, 한국을 포함한 비기축통화국들은 심각한 딜레마에 직면했다. 거스를 수 없는 디지털 금융 혁신의 흐름에 동참해야 하지만, 동시에 자국 통화의 주권이 잠식될 수 있다는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이 장에서는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이 한국 경제에 가하는 위협을 진단하고, 이에 맞서 정부와 민간이 총력전을 펼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전략의 목표와 성공 가능성, 그리고 해결해야 할 과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1. 위협: '디지털 달러라이제이션'과 통화주권 상실의 공포

한국이 원화 스테이블코인(K-Stablecoin) 도입을 서두르는 가장 큰 이유는 '디지털 달러라이제이션(Digital Dollarization)'에 대한 위기감 때문이다. 이는 디지털 환경에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사실상의 통용 화폐로 자리 잡아, 원화의 역할을 대체하고 국가의 통화주권을 무력화시키는 현상을 의미한다.

원화 수요 잠식과 통화정책 무력화

만약 국내의 수많은 기업과 개인들이 결제, 송금, 자산 저장의 수단으로 USDT나 USDC와 같은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게 된다면, 국내 경제에서 원화에 대한 수요는 자연스럽게 감소할 것이다. 이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정하거나 시중 유동성을 관리하여 물가 안정과 경제 성장을 도모하는 통화정책의 기반을 흔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은이 금리를 인상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려 해도, 경제 주체들이 규제 밖의 달러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거래한다면 정책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스테이블코인은 '화폐의 사유화'로, 국가의 통화주권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자본 유출 경로와 금융시장 불안

스테이블코인은 현행 외환거래법의 규제를 우회하여 대규모 자본이 해외로 쉽게 유출될 수 있는 새로운 경로를 제공한다.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투자하거나, 기업들이 해외 파트너에게 대금을 지급할 때 원화를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해 전송하는 방식이 보편화될 수 있다. 이러한 자본의 급격한 유출입은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을 증폭시키고,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경연은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국내 결제 수단으로 확산될 경우, 원화 수요 감소로 환율이 급등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실화된 위기: 통계가 보여주는 경고

이러한 우려는 더 이상 가상이 아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거래된 스테이블코인 규모는 무려 57조 원에 달했다. 충격적인 것은 이 중 USDT가 83.1%(47조 3,311억 원), USDC가 16.9%(9조 6,186억 원)를 차지하며,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사실상 100%에 가까운 점유율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이는 국내 디지털 금융 영역에서 이미 '디지털 달러라이제이션'이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원화의 주도권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주는 통계다.

2. 대응: 'K-스테이블코인'을 통한 방어 전략

이러한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한국 정부와 민간 기업들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는 단순히 새로운 금융 상품을 출시하는 차원을 넘어, 디지털 시대에 통화주권을 지키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방어 전략이자 총력전의 성격을 띤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상징 이미지
디지털 금융 시대의 새로운 경쟁 구도를 상징하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정부와 민간의 총력전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논의는 이재명 정부가 이를 국정과제로 채택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이후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등 정책 당국은 규제 프레임워크 마련에 착수했으며, 민간 부문에서도 발 빠른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 1위 간편결제 사업자인 네이버파이낸셜과 1위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연합하여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을 선언했고, KB국민, 신한, 우리은행 등 8개 주요 은행은 공동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2위 거래소인 빗썸 역시 관련 상표권을 출원하며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는 '디지털 원화'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이미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법제화 동향과 핵심 쟁점

현재 국회에서는 민병덕 의원이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을 중심으로 관련 법제화가 논의되고 있다. 법안의 핵심 쟁점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발행 주체**를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가이다. 한국은행은 초기 은행에만 허용해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이었으나, 정부와 업계는 핀테크 기업 등 비은행권에도 문을 열어 혁신을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둘째, **준비금 요건**이다. 이용자 자산을 보호하고 '코인런' 사태를 막기 위해, 발행액의 100% 이상을 현금, 예금, 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보유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셋째, **이용자 보호 장치**다. 발행사 파산 시 이용자의 자산을 다른 채권자들보다 우선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준비금을 신탁하는 등 '파산 절연'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전략적 목표: 방어를 넘어 공격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전략은 단순히 달러라이제이션을 방어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더 나아가 한국이 강점을 가진 산업과 연계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려는 공격적인 목표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K-콘텐츠나 K-팝 팬덤 경제에 원화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면, 해외 팬들이 복잡한 환전 절차 없이 손쉽게 굿즈를 구매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원화의 국제적 사용 범위를 넓히고, 콘텐츠 기업의 수익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한국의 발달된 IT 인프라와 높은 디지털 금융 수용성을 바탕으로 아시아의 디지털 금융 허브로 도약하려는 장기적인 비전도 포함되어 있다.

3. 성공의 조건: '활용처'와 '생태계' 확보가 관건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법과 제도를 완비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가진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와 선점 우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굳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써야만 하는 매력적인 이유를 제공해야 한다. 즉, '활용처(Use Case)'와 '생태계' 구축이 성공의 가장 중요한 열쇠다.

잠재적 활용처와 기대효과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첫째, **기업의 비용 절감**이다. 한 분석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해외 법인 간 자금 이체에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할 경우, 환전 및 송금 수수료를 절약해 연간 최대 1400억 원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둘째, **금융 포용성 확대**다. 전통적인 은행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소상공인, 청년, 저신용자 등 금융 소외계층이 디지털 지갑을 통해 저렴하고 편리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핀테크 혁신 촉진**이다. 스테이블코인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똑똑한 돈(Programmable Money)'으로서, 조건부 자동 지급(에스크로), 실시간 정산 등 기존에 없던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핵심 과제: 사용처와 보상 구조 설계

문제는 이러한 잠재력을 어떻게 현실로 만드느냐이다. 삼성증권 보고서는 후발주자인 스테이블코인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확실한 활용처'와 '매력적인 보상 구조'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네이버페이가 3천만 명의 사용자와 방대한 가맹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고, 결제 시 포인트 적립이나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면 강력한 초기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업비트와 같은 거래소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기축통화로 사용하여 거래 수수료를 할인해주는 것도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결국, 단순 발행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강력한 민간 주도의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성패를 가를 것이다.

4. 소결

결론적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원화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시대적 환경에서 원화의 가치와 사용성을 '확장'하고, 거대한 '디지털 달러'의 파도에 맞서 통화주권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생존 전략'에 가깝다. 한국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는 달러라이제이션이라는 거대한 위협에 대한 방어적 성격과, 디지털 금융 허브로 도약하려는 공격적 비전을 동시에 품고 있다. 그 성공 여부는 정부의 시의적절한 규제 완비와 더불어, 얼마나 창의적이고 강력한 민간 주도의 활용 사례와 생태계를 만들어내느냐에 달려 있다. 이는 한국 경제의 미래가 걸린 중대한 시험대가 될 것이다.

본질적 한계와 리스크: 모두가 직면한 미완의 과제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패권을 강화하든, 원화 주권을 방어하든, 미래 금융의 한 축으로 진정하게 자리 잡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할 산들이 있다. 이는 특정 국가나 특정 코인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스테이블코인이라는 기술 자체가 가진 본질적인 한계와 리스크다. 이 장에서는 모든 스테이블코인이 공통적으로 직면한 미완의 과제들을 점검한다.

1. 금융 안정성 리스크 (코인런 Coin-Run)

스테이블코인의 이름에 담긴 '안정성(Stable)'은 때때로 가장 큰 역설이 된다. 안정성에 대한 믿음이 무너지는 순간, 시스템 전체를 위협하는 치명적인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의 실패

2022년 발생한 테라-루나(Terra-Luna) 사태는 스테이블코인의 취약성을 전 세계에 각인시킨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테라USD(UST)는 실물 담보 없이 자매 코인인 루나와의 교환 메커니즘이라는 알고리즘만으로 1달러 가치를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시장의 신뢰가 흔들리자, UST를 팔고 루나로 교환하려는 움직임이 폭주했고, 이는 두 코인의 가치가 동시에 0으로 수렴하는 '죽음의 소용돌이(Death Spiral)'로 이어졌다. 이 사태로 약 400억 달러(약 50조 원)가 증발하며, 담보 없는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적 취약성이 명백히 증명되었다. 이 사건 이후, 대부분의 규제 당국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을 사실상 금지하거나 매우 엄격하게 규제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테라(Terra) 로고와 달러
달러와의 페깅 실패로 붕괴하며 스테이블코인의 시스템 리스크를 보여준 테라(Terra) 프로젝트

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의 잠재적 위험

법정화폐를 100% 담보로 하는 스테이블코인이라고 해서 절대적으로 안전한 것은 아니다. 이들 역시 '코인런(Coin-Run)', 즉 대규모 동시 인출 사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은 주로 준비금의 **투명성**과 **유동성** 문제에서 비롯된다. 만약 발행사가 준비금을 실제로 1:1 비율로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거나(투명성 문제), 보유 자산이 단기 국채가 아닌 비유동성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대규모 환매 요청에 즉시 대응할 수 없을 경우(유동성 문제),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순식간에 확산될 수 있다. 이 경우, 너도나도 스테이블코인을 팔고 현금으로 바꾸려는 코인런이 발생하며, 이는 발행사가 준비 자산을 헐값에 급히 매각(Fire Sale)하게 만들어 전통 금융시장으로까지 위기를 전이시킬 수 있다. 미국 재무부 등 금융 당국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은행 수준의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려는 이유도 바로 이 시스템 리스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2. 규제 및 법적 불확실성

스테이블코인은 국경 없이 24시간 움직이지만, 이를 규제하는 법은 각국의 경계 안에 갇혀 있다. 이러한 '규제의 파편화'는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을 저해하는 심각한 장애물이다.

글로벌 규제 파편화

미국은 '지니어스 법안';을 통해 연방 차원의 규제 틀을 마련했지만, 유럽연합(EU)은 'MiCA(Markets in Crypto-Assets)'라는 독자적인 규제안을 시행하고 있다. 홍콩, 싱가포르, 일본 등 아시아 주요국들도 각자의 규제안을 마련 중이다. 이들 규제는 발행사 자격, 준비금 요건, 공시 의무 등에서 세부적인 차이를 보인다. 이는 비자나 페이팔처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글로벌 기업들에게 엄청난 규제 준수 비용과 법적 불확실성을 야기한다. 국가마다 다른 규칙을 일일이 맞춰야 하는 상황은 혁신의 발목을 잡고 시장의 성장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이다.

모호한 이용자 권리

가장 근본적인 문제 중 하나는 '발행사가 파산했을 때, 스테이블코인 보유자는 준비금에 대해 어떤 법적 권리를 갖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은행 예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국가가 일정 금액까지 지급을 보장하지만, 스테이블코인은 그러한 법적 보호 장치가 없다. 미국의 '지니어스 법안'은 파산 시 스테이블코인 보유자의 청구권을 다른 모든 채권자보다 우선하도록 규정하여, 이용자 보호를 한 단계 강화했다. 그러나 이는 미국 내에서만 유효한 규정일 뿐,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표준은 아니다. 이러한 법적 모호성은 스테이블코인이 은행 예금과 같은 수준의 신뢰를 얻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3. 프라이버시와 불법 자금 문제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 특징인 '투명성'은 스테이블코인에 양날의 검으로 작용한다. 모든 거래 기록이 공개된다는 점은 신뢰를 높이는 순기능도 있지만, 심각한 프라이버시 침해와 불법 활동의 온상이 될 수 있다는 역기능도 존재한다.

투명성의 역설: 프라이버시의 종말

블록체인 상의 모든 거래 내역은 원칙적으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이는 개인의 급여 수령 내역, 소비 패턴, 자산 규모 등 민감한 금융 정보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업의 경우, 원자재 구매 내역이나 파트너사와의 대금 지급 내역이 공개되어 영업 비밀이 경쟁사에게 노출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문제는 스테이블코인이 일상적인 결제 수단으로 확산되는 데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다. 아무도 자신의 모든 금융 활동이 타인에게 감시당하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CBDC가 '빅브라더' 논란에 휩싸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민간 스테이블코인 역시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자금세탁방지(AML/CFT)의 새로운 도전

스테이블코인의 신속성과 익명성은 자금세탁, 테러자금 조달, 탈세 등 불법 행위에 악용될 소지가 크다. 전통 금융기관은 엄격한 고객확인제도(KYC)와 자금세탁방지(AML) 의무를 준수하지만, 탈중앙화된 프로토콜이나 규제가 미비한 해외 거래소를 통해 이루어지는 스테이블코인 거래는 추적이 어렵다. 미국 재무부 등 각국 규제 당국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와 관련 서비스 제공업체에 전통 금융기관 수준의 AML/CFT 의무를 부과하며 감시를 강화하고 있지만, 기술의 발전을 규제가 따라잡지 못하는 '창과 방패의 싸움'은 계속될 전망이다.

핵심 요점: 스테이블코인의 내재적 리스크

  • 금융 안정성: 담보의 질과 투명성에 따라 대규모 인출 사태(코인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전통 금융 시스템으로 위기를 전파할 수 있다.
  • 규제 불확실성: 국가별로 상이한 규제는 글로벌 사업자에게 큰 부담이며, 발행사 파산 시 이용자의 법적 권리가 아직 명확하게 보장되지 않는다.
  • 프라이버시 및 불법 자금: 거래 내역의 투명성은 개인과 기업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으며, 자금세탁 등 불법 행위에 악용될 위험이 상존한다.

결론: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 새로운 금융 지형의 탄생

2025년, 스테이블코인은 금융 혁신의 가장 뜨거운 감자이자, 미래 통화 시스템의 향방을 가늠할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통화를 대체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 시작된 본 분석의 여정은, '대체'라는 단어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복합적인 현실을 드러냈다.

결론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은 현재 기축통화인 달러나 주권통화인 원화를 완전히 대체하는 '파괴자(Disruptor)'가 아니다. 오히려 기존 통화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보완하고, 아날로그 자산을 디지털 경제와 연결하는 '가교(Bridge)'이자 '보완재(Complement)'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글로벌 무대에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달러를 위협하기보다, 오히려 더 빠르고 저렴하며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지털 달러'로 진화하며 '달러 제국'을 확장하는 첨병이 되고 있다. 이에 맞서 한국이 추진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역시 기존 원화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시대에 원화의 사용성과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필사적인 '확장 전략'이다. 즉,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통화와의 제로섬 게임을 벌이는 것이 아니라, 각국 통화가 디지털 세계에서 생존하고 경쟁하기 위한 새로운 갑옷이자 무기가 되고 있다.

앞으로의 금융 지형은 어느 하나의 통화가 모든 것을 지배하는 단일한 시스템이 아닐 것이다. 각국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공적 화폐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민간 기업이 발행하고 규제 당국이 감독하는 **스테이블코인**, 그리고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전통적인 법정화폐**가 상호 경쟁하고 보완하며 공존하는 복합적인 시스템으로 진화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진정한 패권 경쟁의 핵심은 '어떤 통화가 디지털 시대의 표준 인프라가 될 것인가'에 있다. 결제, 송금, 대출, 투자 등 모든 금융 활동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플랫폼의 기축 통화 자리를 누가 차지하느냐가 21세기 금융 패권을 결정할 것이다.

스테이블코인은 바로 그 거대한 패권 경쟁의 가장 중요한 전장이자 리트머스 시험지다. 금융 안정성, 규제, 프라이버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는 산적해 있지만, 그 혁신적인 잠재력 또한 분명하다. 투자자와 기업, 그리고 정책 입안자 모두는 이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다. 스테이블코인이 가져올 기회와 리스크를 명확히 인지하고, 새로운 금융 질서 속에서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을 치열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참고 자료

[1]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보다 '정책 설계'부터" < 블록체인 < 금융
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640474
[2]
스테이블코인은 미래의 돈이 될까? - 토스
https://toss.im/tossfeed/article/money-skills-1
[3]
KRW vs USD 빅뱅…스테이블코인이 주목받는 이유는?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308026g
[4]
미국이 매달리는 스테이블코인 그것을 알려주마[스테이블코인의 역습①]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7173881b
[5]
[심층보도] 비은행 원화 스테이블코인 방침에 따른 영향 및 전망
https://www.spo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21414
[7]
Stablecoin Legislation: An Overview of S. 1582, GENIUS Act of 2025
https://www.congress.gov/crs-product/IN12553
[8]
스테이블코인 종류 총정리|스테이블 코인 원리 및 장단점
https://cryptonews.com/kr/cryptocurrency/stablecoins/
[9]
미국이 매달리는 스테이블코인 그것을 알려주마[스테이블코인의 역습①]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7173881b
[10]
'죽도 밥도 안된'스테이블코인… “혁신금융이라도 풀어야” - Daum
https://v.daum.net/v/20250720132604672
[11]
[임정혁 칼럼]디지털 화폐 시대의 도래와 CBDC vs. 스테이블코인의 ...
https://www.newsspirit.kr/news/articleView.html?idxno=20543
[12]
아마존·월마트, 스테이블코인 도입으로 카드 수수료 수십억 달러 절감 ...
https://seo.goover.ai/report/202506/go-public-report-ko-6b2043f3-50c3-454d-8905-37cab1977d6f-0-0.html
[14]
2025년 하반기 : AI 혁명과 스테이블코인이 만드는 새로운 세계
https://contents.premium.naver.com/themiilk/business/contents/250703200652687ss
[15]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과 한국의 대응 방안
https://4pillars.io/ko/articles/stablecoin-market-korean-strategic-imperative
[16]
미국이 매달리는 스테이블코인 그것을 알려주마[스테이블코인의 역습①]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7173881b
[17]
미국이 매달리는 스테이블코인 그것을 알려주마[스테이블코인의 역습①]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7173881b
[18]
[초점] 美,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진입 임박…'예금 블랙홀' 우려에 떠는 ...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7/202507192204172209fbbec65dfb_1
[19]
'국가 전략 자산'된 스테이블코인의 정체 - 신동아
https://shindonga.donga.com/economy/article/all/13/5718832/1
[20]
원화 스테이블코인 논의 한창인데 해외선 "위험하다" 경고 - 마켓인
https://marketin.edaily.co.kr/News/ReadE?newsId=04375526642234848
[21]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발행, 인플레이션·금융안정·통화주권에 ...
https://tilnote.io/pages/687b8c22ace83a0d5445a1e4
[22]
“달러 스테이블코인 확산 시 원화 가치 10% 급락”…韓경제 경고등
https://www.mk.co.kr/news/economy/11321976
[23]
기관 유입·ETF 열기 지속…2025년 암호화폐 흐름 어디로? - 99Bitcoins
https://99bitcoins.com/kr/news/where-is-crypto-market-heading-2025/
[25]
미국이 매달리는 스테이블코인 그것을 알려주마[스테이블코인의 역습①]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7173881b
[26]
[PDF] 스테이블코인에 관한 법적 연구 - S-Space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222023/1/000000188135.pdf
[27]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이 한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https://sandol20.tistory.com/253
[28]
[29]
스테이블코인 절감 효과, 삼성전자 내부 결제 도입 시 최대 1400억 원 ...
https://jayeon-i.tistory.com/23
[30]
[칼럼] '디지털 금융 스테이블코인'…'금융사기 예방의 방패” - 지이코노미
https://www.geconomy.co.kr/news/article.html?no=302651
[33]
스테이블코인 사용 증가와 이더리움 보유자 분석 - 브런치
https://brunch.co.kr/@mentats1/797
[34]
[35]
스테이블코인이 온체인 신용, 그리고 프라이버시와 만날 때 - by Jay Jo
https://reports.tiger-research.com/p/when-stablecoins-meet-kor
[36]
힘 빠진 한은 CBDC vs 힘 세진 스테이블코인…은행권 '난감' - 뉴스1
https://www.news1.kr/finance/general-finance/5825810
[37]
Stablecoin Q1 2025: Insights on Trends & Regulation
https://blog.amberdata.io/stablecoin-q1-2025-insights-on-trends-regulation
[38]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법 美상하원 통과…"디지털화폐도 달러패권 ...
https://www.seattlen.com/hot/51062
[39]
Citi: Stablecoin Market Could Hit $3.7 Trillion by 2030 - PYMNTS.com
https://www.pymnts.com/cryptocurrency/2025/citi-stablecoin-market-could-hit-3-7-trillion-by-2030/
[41]
한국 딜로이트 그룹 '미래 금융의 축을 바꾸는 8가지 메가트렌드 ...
https://www.deloitte.com/kr/ko/about/press-room/press-2025-06-24.html
[42]
유튜브 수익, 스테이블코인으로 받는다면
https://core.asiae.co.kr/article/2025072108211815948
[46]
Cryptocurrency Adoption by Country Statistics 2025 - CoinLaw
https://coinlaw.io/cryptocurrency-adoption-by-country-statistics/
[47]
[기획] 미국 하원 '가상화폐 3법' 통과… 한국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방향 ...
https://mnews.koreanbar.or.kr/news/articleView.html?idxno=33943
[48]
Bithumb Files Trademark Application for KRW Stablecoin
https://bloomingbit.io/en/feed/news/92343
[50]
온체인 디지털 원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열어가는 금융 신세계
https://www.wepin.io/ko/blog/onchain-krw-stablecoin
[51]
삼성전자, 이것 쓰면 年 1400억 비용 절감…깜짝 분석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1476101
[53]
III. The next-generation monetary and financial system
https://www.bis.org/publ/arpdf/ar2025e3.htm
[55]
'크립토 위크' 맞은 美, 스테이블코인 법안에 어떤 내용 담겼나
https://news.nate.com/view/20250714n3004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