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ocker
- 영어
- JS
- ssh
- Ai
- elasticsearch
- API
- Kibana
- nodejs
- Windows
- logstash
- s3
- 엘라스틱서치
- MySQL
- ChatGPT
- build
- error
- AWS
- sample
- 구글
- 설정
- mariadb
- MSSQL
- JavaScript
- Python
- unity
- Linux
- Git
- 유니티
- Today
- Total
목록coroutine (2)
가끔 보자, 하늘.
패치 모듈 만들다가 패치 모듈의 코루틴을 써야되는 상황일 때.. StartCoroutine은 non-static member function입니다. 결론만 간단히 ... 아래와 같이 활용하세요. // 활용 코드Test test = GameObject.Find("TestPrefab").GetComponent();yield return test.StartCoroutine( test.startPatch()); (in Test.cs)// 샘플 Test class 선언 형태public class Test : MonoBehaviour{public IEmumerator startPatch(){ . . .}} * TestPrefab을 만들어서 Test script 연결해 해당 씬에 등록하세요.
자주 안쓰는거니 이번에 확실히 정리하자. 준비물은 아래와 같다. - 안드로이드 OS가 설치된 디바이스.- 유니티 5.0 이상 (개인/기업 버전 둘 다 가능)- AP (PC와 모바일 디바이스가 같은 AP를 사용해야 서로 접근이 가능하다.) : 집에서는 보통 같은 공유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문제없을 듯. : 보통 사무실에서는 보안등의 문제로 PC는 유선, 모바일은 별도의 무선을 사용할 듯. 이럴 경우 보통 2만원정도의 싼 공유기를 사면 AP로 사용 가능. 공유기 설정을 통해 AP로 변경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를 설정된 AP에 연결한다. 그러면 자동으로 할당하는 IP를 통해 이를 진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보안 정책이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하면 관리자와 확인이 필요할 수 있음.- 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