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unity
- 바보
- 구글
- Python
- AWS
- JavaScript
- FLUTTER
- LLM
- 주식
- elasticsearch
- Ai
- Windows
- error
- Linux
- API
- Kibana
- 투자
- 유니티
- docker
- nodejs
- MSSQL
- 설정
- gemini
- MySQL
- 재테크
- app
- 분석
- ChatGPT
- JS
- Today
- Total
목록AWS (50)
가끔 보자, 하늘.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개요 2. 준비 3. 쿼리 알아보기 4. nodejs와 통합 5. chart로 표현하기 1. 개요 최근 회사에 Elasticsearch(이하 ES)로 통계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Mysql MyISAM 엔진으로 구축하던 것과 비교해보면 엄청나게 편리해졌네요. Kibana로 쿼리하고 결과를 손쉽게 출력하여 담당자가 아닌 컨텐츠 개발자도 자신이 보고 싶은 결과를 바로 추가하여 볼 수 있을 정도니, 작은 개발사에는 이보다 더 좋은 솔루션이 있을까 싶네요. 그런데 ES에서 나온 다른 두 결과의 비교가 필요한 경우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서 조금 아쉽더군요. 그래서 이를 직접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시간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비교하는 경우는 timelion을 사용하면 되나..
javascript로 aws cognito 연동 할 때, app 설정에서 "클라이언트 보안키 생성" 옵션을 해제해야 한다. https://github.com/aws-amplify/amplify-js/tree/master/packages/amazon-cognito-identity-js "When creating the App, the generate client secret box must be unchecked because the JavaScript SDK doesn't support apps that have a client secret." 클라이언트 보안 옵션은 기본으로 체크 되어 있어서 생각없이 넘어 갔는데, 켜져 있으면 "Unable to verify secret hash for client ...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ec2-server-refused-our-key/ 처음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다운로드 했던 pem 파일을 찾지 못한다면... 사망!! 처음부터 다시 구축하던가 백업해둔 이미지로 다시 생성!! .ssh/authorized_keys 내용을 직접 수정하고 재시작 해봤지만 이 방법은 불가. 1. 해당 인스턴스를 실행 중지 시키고.. 2. 작업 > 인스턴스 설정 > 사용자 데이터 보기/변경을 선택 (인스턴스가 완전히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변경 불가) 3. 아래 코드를 붙여넣기 한 다음 #cloud-config ssh_deletekeys: false ssh_authorized_keys: cloud_final_m..
EC2 대시보드 -> 인스턴스 -> 인스턴스 시작 여기서는 Amazon Linux AMI를 선택하려 한다. 인스턴스 유형은 t2.micro (역시 프리 티어 사용 가능 ) 선택 후 "검토 및 시작" 버튼. (인스턴스 구성 및 스토리지 추가 등이 필요하면 각 상세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각 항목은 추후 필요할 때 다시 설정할 예정이니 여기서는 넘어가자.) "시작" 버튼을 누르면 키페어에 대한 질의가 나온다. "새 키 페어 생성"을 눌러보자. 키 페어 이름을 넣은 후 "키 페어 다운로드"를 해서 pem 파일을 만들어두자. 원격 제어를 위해 접근하려면 꼭 필요하다. 그리고 인스턴스를 시작하면 생성 후 가동된다. 이제 터미널에서 접속하는 과정을 보자. 일단 다운받은 pem 파일을 원하는 위치에 놓고 터미널에서..
AWS 문서를 따라 했지만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공식 문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해야 whitelist를 적용할 수 있다. 1. 해당 bucket의 권한 탭에서 "버킷 정책"을 선택. 아래와 같이 정보를 입력한다. { "Version": "2012-10-17", "Id": "Policy......", "Statement": [ { "Sid": "WhiteListfor", "Effect": "Deny", "Principal": "*", "Action": "s3:*", "Resource": "arn:aws:s3:::your-bucket-name/*", "Condition": { "NotIpAddress": { "aws:SourceIp": "Ip address range to allow" } } }..
POST로 json데이터를 전달할 때, 서버 트리를 가지는 구조를 전달하면 400 bad request 를 리턴한다. 문제가 되는 구조는 아래와 같다. { "msg" : { "to": "you", "from":"me"}} text/plain으로 지정해서 보내봤지만 에러는 계속 발생한다. 이를 아래와 같은 단일 구조로 만들어서 보내야 한다. {"msgTo": "you", "msgFrom":"me"}
인증을 설정하지 않았어도 일반적인 웹브라우져에 주소를 입력하는 방식으로는 {"message":"Missing Authentication Token"} 이라는 메세지만 볼 수 있다. Unity c# 코드를 기준으로 테스트를 해 보았다. ----- UntyWebRequest 사용 시 WWWForm form = new WWWFrom();form.AddField("test", "value");UnityWebRequest www = UnityWebRequest.Post(apiAddr , form);yield return www.SendWebRequest(); >> 실패. API 문서를 봐도 이 코드가 실패할 이유는 없는 듯 한데.. 안됨. (* 참고 코드 : https://docs.unity3d.com/Manu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