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ython
- mariadb
- 구글
- sample
- MSSQL
- s3
- Git
- nodejs
- 영어
- MySQL
- logstash
- API
- Ai
- unity
- Kibana
- 설정
- docker
- Linux
- JS
- ChatGPT
- JavaScript
- 엘라스틱서치
- elasticsearch
- Windows
- AWS
- error
- build
- ssh
- 유니티
- Today
- Total
목록도커 (4)
가끔 보자, 하늘.
우선 Docker Desktop에서 Elasticsearch , Kibana 이미지를 찾아 실행합니다. 둘 모두 잘 실행되었다면 kibana로 접속합니다. http://localhost:5601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docker 로 둘을 실행하면 서로 다른 네트웍으로 인식하고 elasticsearch에서는 kibana의 원격접속 인증을 위해 elasticsearch에서 발급한 토큰을 입력하라고 요청합니다. elasticsearch docker에 exec 탭에서 아래 커멘드를 입력해 토큰을 생성합니다. bin/elasticsearch-create-enrollment-token --scope kibana이렇게 발급된 코드값을 복사해 kibana 웹 페이지에서 입력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
우선 aws congifure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이 링크(link)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사용하는 계정에는 ECS Access 권한이 필요합니다. docker 설치 및 실행 우선 도커를 설치하면 됩니다. (아래 내용은 AWS Linux2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sudo yum install docker -y sudo systemctl start docker 그리고 ec2-user에 docker group 권한을 설정합니다. sudo usermod -a -G docker ec2-user 설정 후 재접속해서 id 명령으로 ec2-user 계정에 docker 그룹이 할당된 것을 확인합니다. 이제 ecr 인증을 진행합니다. aws ecr get-login-password --region ..
아쉽지만 docker는 실행중인 컨테이너에 실시간으로 포트를 오픈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아래와 같은 방법들로 다시 시작해야 한다. 1. 컨테이너의 변경 사항이 없다면.. stop 후 docker run에 -p 옵션을 추가하여 실행하면 될 것이다. 2. 컨테이너의 변경 사항이 있다면 docker commit를 사용해서 변경된 내용이 적용된 컨테이너를 만들어서 -p 옵션으로 재실행한다. docker stop running_containerdocker commit running_container new_containerdocker run -p newport:newport new_container
docker는 컨테이너를 실행하면서 컨테이너의 가상 디바이스에 RFC 1918 에 기술된 내용에 따라 private 영역의, 임의의 IP를 할당한다. masquerading rule (표현이 재밌네 ^^)에 따라 할당한다고 하는데 상세한 건 "이 문서" 를 참고 바람. 어쨌든 중요한 건 ,host server에서 임의로 설정하기 때문에 이렇게 주어진 IP는 외부에서 알 수 없다. container에 포함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자신의 IP를 얻어와서 외부의 container 혹은 솔루션에 알려주어도 외부에서는 해당 컨테이너로 접근할 수 없다. 외부에서 container 자신에게 접속하게 하려면 (routable ip address를 사용하는) host 서버의 IP주소와 docker run 시 -p 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