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니티
- unity
- Kibana
- Linux
- ssh
- API
- MySQL
- docker
- ChatGPT
- elasticsearch
- 구글
- sample
- error
- React
- nodejs
- Windows
- Ai
- mariadb
- JS
- 영어
- AWS
- build
- 설정
- JavaScript
- Python
- 바보
- s3
- MSSQL
- app
- Today
- Total
목록다중 (2)
가끔 보자, 하늘.

한 폴더에 작업이 필요한 이미지를 넣은 후 필요한 workflow에서 하나씩 이미지를 처리하려고 할 때 Load Image batch 노드와 Extra options의 Batch count를 이용하면 됩니다. "Load Image Batch"노드는 https://github.com/WASasquatch/was-node-suite-comfyui 를 설치하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mode를 "single_image"로 지정할 경우 지정한 index의 이미지만을 사용합니다. "incremental_image"로 지정하면 지정한 index부터 순차적으로 1씩 인덱스를 증가시키며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그런데 이렇게 노드를 구성하고 "Queue Prompt"를 선택하면 하나의 작업만 수행됩니다. 물론 다시 "Queu..
'logstash-' 날짜 형태로 인덱스를 자동 생성하는데, 여러 타이틀 혹은 용도 별로 분리하려면 수정이 필수적임. 만약 새롭게 생성하는 상황이라면, 원하는 곳에 pipelines에 적용할 config 파일을 하나 만들자. ( https://www.elastic.co/guide/en/logstash/current/advanced-pipeline.html 참고) 만약 이미 만들어 두었다면 config/pipelines.yml을 열어 pipeline.id의 path.config를 확인해보자. 이제 기본적인 pipeline config를 구성했다면 원하는 조건과 이름을 활용해 인덱스를 수정해보자. 만약 logstash에서 elasticsearch로 바로 보낸다면 output 부분이 아래와 같을 것이다. 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