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바보
- 구글
- docker
- elasticsearch
- Windows
- 주식
- 재테크
- error
- nodejs
- JS
- MSSQL
- gemini
- app
- MySQL
- Ai
- JavaScript
- AWS
- API
- Linux
- 유니티
- ChatGPT
- LLM
- 분석
- unity
- FLUTTER
- 설정
- Kibana
- 투자
- Python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2/06/28 (1)
가끔 보자, 하늘.

원래 #5로 끝났지만 주의할 사항들이 몇 있어 간단히 정리하고 정말 마무리 하려 합니다. 1. 여러 스택을 정의한 경우 > cdk deploy/destroy stack01 // 이렇게 명시해서 특정 스택만 배포/삭제 > cdk deploy/destroy --all // 정의된 모든 스택을 배포/삭제 2. 분기 처리 방법 local의 config, env 파일 등에 정의한 내용을 활용하여 내부 분기처리를 할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config.json 파일에 배포할 지역을 정의하고 이를 읽어 처리할 수 있습니다 // config.json 의 예 { "regions" : ["us-east-2", "ap-northeast-2"] } 혹은 위와 같은 내용은 ddb에 업데이트하고 deploy/destroy 시 이를..
개발 이야기/인프라 구축 및 운영
2022. 6. 28. 1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