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API
 - Ai
 - 바보
 - unity
 - LLM
 - Python
 - JavaScript
 - AWS
 - JS
 - Kibana
 - ChatGPT
 - nodejs
 - 유니티
 - MySQL
 - MSSQL
 - 투자
 - docker
 - Windows
 - 분석
 - 설정
 - 구글
 - FLUTTER
 - error
 - elasticsearch
 - Linux
 - app
 - gemini
 - 주식
 - 재테크
 
                            Archives
                            
                        
                          
                          - Today
 
- Total
 
가끔 보자, 하늘.
AWS API Gateway Authorization 설정 주의사항 두 가지 본문

- TOKEN(REST API 전용, 레거시)
- 장점: 단순. Authorization 헤더(Bearer 토큰)만 받아 검증.
 - 단점: 헤더/쿼리/경로 등 다른 컨텍스트 미제공, 정규식/캐시 설정에 민감.
 
 - REQUEST(REST/HTTP API 공통, 권장)
- 장점: headers, queryString, pathParameters 등 전체 요청 컨텍스트 제공. Identity sources를 여러 개 지정해 캐시 키 구성 가능. HTTP API도 이 방식만 지원.
 - 단점: 이벤트가 큼. 설정 항목이 더 많음.
 
 
- HTTP API(v2)는 TOKEN 타입이 없음. Lambda authorizer는 REQUEST 형태만 지원.
 - 만약 HTTP API인데 TOKEN처럼 가정하면 동작 불가.
 

위 옵션을 활성화해야 “API Gateway → Lambda 통합 단계에서 authorizer 컨텍스트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
음... -_-;  이전까지는 서비스를 세부적인 것까지 구현하지는 않았기에 인증에 이런 이슈들이 있는지는 몰랐네. 
request로 설정하세요. AI가 Token으로 설정하라 그래서 한참 해맸네 -_-++
반응형
    
    
    
  '개발 이야기 > 개발 및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지난 주 GitHub Trending Repository Top 3 (2) | 2025.09.19 | 
|---|---|
| LLM 응답 속도 개선 해보기(feat. Qwen) (0) | 2025.09.04 | 
| LangGraph와 MCP를 사용한 서비스 구축 (6) | 2025.08.13 | 
| AI 트레이딩 어시스턴트 구축하기 (7) | 2025.08.12 | 
| 노후 서버의 root ca 갱신 방법 (2) | 2025.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