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니티
- Linux
- Kibana
- 재테크
- LLM
- JavaScript
- error
- 투자
- unity
- ChatGPT
- API
- 주식
- Windows
- FLUTTER
- 분석
- 바보
- 설정
- gemini
- docker
- app
- Python
- nodejs
- Ai
- AWS
- MSSQL
- 구글
- MySQL
- elasticsearch
- JS
- Today
- Total
목록server (7)
가끔 보자, 하늘.
자체 서비스에 MCP를 도입해 보세요.당신의 서비스에 MCP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만들고 LangGraph를 이용해 서비스를 확장해 보세요. Spring Boot API와 LangGraph를 활용한 로컬 AI 에이전트 구축 실전 가이드목차서론: 프로젝트 개요 및 기술 스택 소개목표 및 핵심 컨셉기술 스택 요약1부: 백엔드 구축 - Spring Boot 사칙연산 API 서버 개발프로젝트 환경 설정MCP(Model-Context-Protocol) 설계API 컨트롤러 및 서비스 구현단독 서버 테스트2부: AI 에이전트 구축 - Ollama, Gemma 그리고 LangGraph로컬 LLM 환경 준비LangGraph 프로젝트 설정LangGraph의 핵심: 상태 기반 그래프 설계그래프 컴파일 및 실행3부: 시스템 통..
2025.05.19 - [개발 이야기/개발 및 서비스] - ESP32 IDF + VSCode 환경 구축2025.05.31 - [개발 이야기/개발 및 서비스] - ESP32와 Flutter간 Bluetooth 통신물론입니다! ESP32-PICO-DevKitM-2 보드와 ESP-Prog 디버거를 활용하여 PlatformIO에서 BLE(Bluetooth Low Energy) 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블로그 포스팅 형식으로 상세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단순 연결을 넘어, 데이터 전송 및 응답의 기본 구조까지 다룹니다.ESP32에서 BLE 서버 구축하기: PlatformIO와 ESP32-PICO-DevKitM-2 활용 가이드안녕하세요! 오늘은 ESP32-PICO-DevKitM-2 보드를 사용하여 BLE(Bluetoo..
OAuth 서비스 만들기에 앞서.. Before creating an OAuth service... OAuth는 타사 애플리케이션이 자격 증명을 노출하지 않고 다른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을 위한 공개 표준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사용자는 로그인 자격 증명을 공유하지 않고도 한 웹사이트나 앱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다른 웹사이트나 앱에 부여할 수 있습니다. OAuth is an open standard for authentication that allows third-party applications to access your data from other services without exposing your credentials. Simply put, it ..
레거시 서비스 중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에 종종 문제가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이를 수정하는게 올바른 방법이겠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관리자들이 일정 기간마다 재시작을 수행할 때가 있고, 가끔 다운되면 주말에도 접속해서 재가동 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곤 합니다. pm2와 같은 윈도우용 프로그램이 있으면 하는 생각을 해봤지만, 그건 주기적인 재실행 처리가 불가능해서 python으로 직접 만들어 보았습니다. python은 자동 테스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최근에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훨씬 재밌었습니다. C++/JS/Python을 넘나들면서 코딩하는게 꽤 귀찮긴 하지만... Github(https://github.com/blackwitch/winPM)에도 같이 올려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편의를 위..
워낙 가끔 만지다보니 가끔 혼동이 와서 정리합니다. Windows Server 2019 Standard ( 64bit ) , MSSQL Standard 2017( 64bit ) (1) 에 사용할 이름을 설정, (2)에 연결할 DB의 IP, PORT를 입력합니다. MSSQL 끼리 연결할 때 다른 설정은 굳이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연결할 DB에서는 "보안" 항목에 입력할 계정에 필요한 권한이 설정되어 있을 것이므로 (입력된 것이 없다면 연결할 DB에 계정 생성, 필요한 사용 권한 설정을 해 두시면 됩니다.) 다른 설정은 필요없습니다. 카탈로그에 사용할 DB 이름을 넣을 수 있지만 사용 권한 설정에 필요한 정보가 다 있으므로 입력이 불필요합니다. 그리고 "보안" 페이지에서 원격 로그인, 암호를 입력한 후 ..
plain text 형태로 S3에 업로드한 자료들이 맘에 걸려서 bucket에 올린 자료들을 모두 암호화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 복잡한 절차들이 있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큰 불편함없이 마무리 할 수 있어서 좋긴 한데, 뭔가 하다 만 느낌이라 걱정이 싹 가시진 않네요. 기존에 자료를 업로드 하는 app과 자료를 읽는 app 모두에서 별다른 조치를 할 필요는 없었습니다. IAM에 설정된 사용자에 정책을 추가하는 것과 Bucket에 암호화 설정하기. 그리고 기존 데이터 암호화하기로 모든 작업이 끝나네요. 이 설정이 편한게 데이터 암호화를 클라이언트가 직접 하는게 아닌 server side encryption이라 별로 손 댈게 없어서 좋았습니다. put, get 시 별도 하는게 없어 암호화 되었는지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