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hatGPT
- 구글
- docker
- 설정
- 투자
- FLUTTER
- API
- AWS
- LLM
- 주식
- Python
- MySQL
- Windows
- JS
- app
- 바보
- elasticsearch
- Linux
- Ai
- unity
- 재테크
- MSSQL
- nodejs
- 분석
- JavaScript
- gemini
- Kibana
- error
- 유니티
- Today
- Total
목록mobile (5)
가끔 보자, 하늘.
2025.05.19 - [개발 이야기/개발 및 서비스] - ESP32 IDF + VSCode 환경 구축이번 포스팅에서는 Flutter 앱에서 Bluetooth Low Energy (BLE) 장치를 스캔하고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oT 장치와의 연동이나 웨어러블 기기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이니,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어렵지 않게 구현하실 수 있을 거예요.1. flutter_blue 패키지 추가하기Flutter에서 BLE 기능을 사용하려면 flutter_blue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먼저 pubspec.yaml 파일에 다음과 같이 패키지를 추가해주세요.dependencies: flutter: sdk: flutter flutter_bl..

이번 글에서는 간단한 UI를 적용해 보겠습니다. React native 설치 및 프로젝트 세팅 방법은 앱 개발 - 01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앱 개발 - 01 에서 생성한 firstApp 생성된 프로젝트가 있다고 가정한 상태로 설명하겠습니다. 프로젝트가 생성되지 않았다면 앱 개발 - 01를 참고해서 우선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다시 이 글로 돌아와 주세요. 이 글에서는 UI를 다룰 때 필요한 주요 기능을 예제를 통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React Native Elements 로 UI 구현 Layout 설정 React Native Navigation 사용하기 Popup 구현 React Native Elements 로 UI 구현 UI 객체 구현은 React Native Element..

React Native는(이하 RN) React를 이용해 Android와 iOS 네이티브 앱을 개발할 수 있는 Framework이며 2020년 2월 현재 0.61 버전입니다. 버전이 1이 안되는데도 불구하고 많은 개발사들이 사용하는걸 보면 Facebook에서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는 의미일 겁니다. 이 글은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필요한 개발 툴들 React Native CLI 로 프로젝트 생성하기 앱 실행 해보기 필요한 개발 툴들 본격적으로 알아보기 전에 먼저 설치해야 할 개발툴들이 있습니다. 이를 알아보고 진행해 보겠습니다. Node.js : React는 Javascript Runtime인 Node.js를 사용합니다. npm : Node.js의 패키지를 관리하는 툴입니다. React ..
https://yuddomack.tistory.com/entry/1React-Native-%EC%84%A4%EC%B9%98%EC%99%80-%EC%8B%A4%ED%96%89hello-world?category=754156 (이하 링크 문서) - 이 링크에 너무 잘 정리되어 있어 따라하면서 배우는 중입니다. (글쓴이님. 감사합니다. :) https://wix.github.io/react-native-navigation/#/docs/Installing (이하 공식 문서) 아래 내용은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진행된 내용입니다. OS macOS Mojave 10.14.1 Android Studio 3.3.1 XCode 10.1 nodejs 10.13.0 react 16.6.3 react-native 0.5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