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ogstash
- Windows
- elasticsearch
- Python
- Kibana
- 유니티
- Git
- docker
- build
- MySQL
- ChatGPT
- error
- nodejs
- Linux
- JS
- MSSQL
- Ai
- API
- 설정
- 영어
- mariadb
- JavaScript
- unity
- AWS
- ssh
- s3
- 엘라스틱서치
- sample
- 구글
- Today
- Total
목록certificate (2)
가끔 보자, 하늘.

이번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공인인증서는 무슨 역할을 하고, 왜 인증된 기관에서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인증서(Certificate)는 무엇이며 왜 만들어졌는가? 인증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발행 장소 - 소유자 이름과 email 주소 - 인증서의 용도, 유효기간 - Common Name(CN) - Public Key - Hash 인증서에 포함된 Public Key는 발행 주체(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등)의 PK이며, 이 정보들은 인증기관의 private key로 암호화 되었습니다. 브라우저들은 유명한 인증 기관의 Public Key를 이미 포함하고 있어 인증서를 받아 발행 주체의 Public Key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증서를 공인된 인증 기관에 신청하는 ..

회사 자체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에 SSL을 도입할 일이 생겼는데, SSL 도입 자체가 처음이라 도입 과정의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Self Signed Certificate이라고 하는 용어도 이번에 첨 알게 되었네요. 필요한 사전 내용부터 도입 과정, 예외상항에 대해서 순서대로 정리 보았으니 참고 되시길 바랍니다. (* 처음 해보는 거라 잘못된 정보,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알고 가야 할 것들! SSL(Secure Socket Layer)이 무엇인지는 너무 많은 글들이 있으니 여기서는 SSL 도입에 필요한 요점만 정리하겠습니다. 사실 TLS(Transport Layer Security)지만 SSL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겠습니다. HTTP와 HTTPS의 차이 HTTP는 평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