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구글
- JS
- docker
- React
- nodejs
- MSSQL
- JavaScript
- FLUTTER
- Python
- Windows
- s3
- API
- Ai
- Kibana
- 유니티
- 연동
- MySQL
- gemini
- mariadb
- elasticsearch
- unity
- error
- ssh
- Linux
- build
- app
- dart
- ChatGPT
- AWS
- Today
- Total
목록용량부족 (3)
가끔 보자, 하늘.
빌드 캐시/임시 파일 정리> docker builder prune -a 모든 중지된 컨테이너, 안 쓰는 이미지, 네트워크, 볼륨 정리 > docker system prune -a 하지만 윈도우에서는 C:\Users\[your_id]\AppData\Local\Temp에는 여전히 파일들이 남아 있을 수 있어 직접 삭제가 필요합니다.
개발 혹은 테스트 인프라에서 MySQL 운영할 때 바이너리 로그를 지우지 않아 문제가 되는 경우를 가끔 보내요. MySQL(MariaDB)의 경우 global variables에서 바이너리 로그 유지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SHOW VARIABLES LIKE 'expire_logs_days'; 위와 같이 쿼리를 해보면 0 혹은 별도 지정한 값이 출력됩니다. 단위는 days입니다. set global expire_logs_days=7; 위의 예처럼 유지할 일자를 설정하면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만약 수동으로 바이너리 로그를 삭제하고 싶다면 원격 접속해서 지울수도 있고 쿼리로 아래와 같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reset mater; // 현재 사용중인 마지막 log만 남기고 나머지 bin log 파일들을..
새로 DB 구축할 때 가끔 까먹는 설정 중 하나가 binary logs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용량 부족해서 터져봐야... "아.. !! XxXxxXxX ... " 각설하고 바로 정리하겠습니다. > mysql -uroot -p MariaDB [(none)]> show variables like '%expore%'; +----------------------------+-------+ | Variable_name | Value | +----------------------------+-------+ | expire_logs_days | 0 | >> 0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영구적으로 남깁니다. | innodb_log_arch_expire_sec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