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SL에서는 precision_threshold값을 적용하여 사용했는데, Kibana에서는 적용해본 적이 없다가 사용하시는 동료들이 값이 이상하다며 내용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Metrics에 Y-Axis의 Aggregation을 Unique Count로 지정했을때 아래와 같은 값이 출력되고 있었습니다.
이 값이 terms로 뽑을 때와 3% 정도 차이가 나고 있어 DSL에 적용한 precision_threshold 설정을 적용해 봤습니다.
Metrics 하단에 JSON input 란이 있습니다. 여기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precision_thredshold의 기본값은 3000이며, 최대값은 40000입니다.
아래와 같이 조정이 되지만 terms와 완전히 동일한 값이 되지는 않습니다.
hits 수는 2천만개에 terms의 결과는 16779개라 애매하네요. -_-a 최대치로 올려도 조금의 차이는 발생합니다.
가끔 정확한 수치가 필요한 경우 raw data를 모두 검색해서 별도로 지표 처리를 하면 할 수는 있지만 이런 경우는 대처하기 애매하네요.
반응형
'개발 이야기 > Elastic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ecision_threshold 이야기 (0) | 2020.06.03 |
---|---|
Logstash sqs plugin 설정 (0) | 2020.02.06 |
logstash tcp로 데이터 전송 시 손실없는 데이터 전달 흐름 설계 (0) | 2020.01.15 |
좌충우돌 ELK 7.1.1 롤링 업그레이드 (0) | 2019.06.27 |
ES의 shard initialize 에 대해... (0) | 2019.01.31 |
ES QueryDSL에서 aggregation에 order 설정 제한 (0) | 2019.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