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app
- docker
- 설정
- LLM
- elasticsearch
- MySQL
- error
- 투자
- JS
- 재테크
- unity
- ChatGPT
- Windows
- gemini
- Python
- 구글
- 유니티
- nodejs
- 주식
- JavaScript
- Ai
- FLUTTER
- MSSQL
- 바보
- Linux
- Kibana
- 분석
- API
- AWS
Archives
- Today
- Total
가끔 보자, 하늘.
CRITICAL_SECTION 본문
윈도우에서 멀티쓰레드 프로그래밍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CRITICAL_SECTION이다.
동기화를 이야기 할 때 대분류로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이 프로세스간 동기화와 쓰레드간 동기화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 아티클을 추천한다.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nux/library/l-rt5/
반응형
'개발 이야기 > 개발 및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ysql 코드 문제점들.. (0) | 2013.12.03 |
|---|---|
| 텍스쳐 메모리 압축 관련 자료들 (0) | 2013.06.20 |
| type_info::_name_base의 메모리 누수 문제 (0) | 2013.06.10 |
| jquery를 이용한 그리드 컨트롤 (53) | 2012.07.05 |
| 자료형은 byte로 (0) | 2011.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