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eact
- JavaScript
- JS
- docker
- Ai
- ssh
- elasticsearch
- 유니티
- AWS
- error
- build
- Kibana
- 영어
- app
- 바보
- unity
- 설정
- s3
- API
- MySQL
- sample
- nodejs
- Python
- Linux
- MSSQL
- Windows
- mariadb
- 구글
- ChatGPT
- Today
- Total
가끔 보자, 하늘.
오픈소스 라이센스 한 방 정리!! 본문
개인 개발자가 되고나니 특히 오픈소스를 활용할 일들이 많아지네요. 그런데 각 오픈소스마다 제각각인 라이센스 문제로 골머리리 함 정리해 봅니다. gpt가 깔끔하게 정리를 해주니 좋긴 하네요. gpt 포멧 그대로 유지하고 몇 가지만 추가 수정했습니다.
"공개된 소스니까 그냥 쓰면 되는 거 아냐?" 라고 생각했다가, 상업적 이용이나 배포 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일단 결론부터... 바쁘신 분들은 바로 아래 표만 참고하시면 됩니다. :)
라이선스별 특징 요약 표
라이선스 | 상업적 사용 | 소스코드 공개 의무 | 특허 보호 | 저작자 표시 |
MIT | 가능 | 없음 | 없음 | 필요 |
Apache 2.0 | 가능 | 없음 | 있음 | 필요 |
GPL | 가능 | 있음 (전체 공개) | 없음 | 필요 |
LGPL | 가능 | 수정한 라이브러리만 공개 | 없음 | 필요 |
CC BY | 가능 | 없음 | 없음 | 필요 |
CC BY-NC | 불가 (비상업적만) | 없음 | 없음 | 필요 |
아래는 대표적인 라이선스들의 특징과 차이점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1. MIT License
MIT 라이선스는 "가장 자유로운" 라이선스입니다.
- ✅ 소스코드 수정 가능
- ✅ 소스코드 재배포 가능
- ✅ 상업적 사용 가능
- ❗ 단, 원 저작권자 표시(MIT 라이선스 문구 포함)는 해야 함
요약:
그냥 마음껏 써라. 하지만 출처는 남겨라. 배포자에게 법적 책임 없으니 알아서 써라!! 문제 생겨도 난 모름!
적합한 경우: 개인 프로젝트, 스타트업, 빠른 개발 등
2. Apache License 2.0
Apache 라이선스는 상업적 사용도 허용하지만, 특허권까지 보호합니다.
- ✅ 소스코드 수정/배포 가능
- ✅ 상업적 사용 가능
- ✅ 특허 소송 방지 조항 있음
- ❗ 저작권 및 라이선스 문구 명시 필요
요약:
마음껏 써도 되지만, 특허 가지고 장난치면 안 된다.
적합한 경우: 기업 제품, SaaS 서비스 개발
3. GPL License (GNU General Public License)
GPL은 "자유"를 지키기 위해 모든 후속 소스코드 공개를 강제합니다.
- ✅ 소스코드 수정/배포 가능
- ❗ 상업적 사용 가능하지만, 소스코드를 반드시 공개해야 함
- ❗ GPL 라이브러리를 링크한 소프트웨어 전체를 GPL로 공개해야 함
요약:
썼으면 모두 공개해라. 숨기지 마라.
적합한 경우: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오픈소스 커뮤니티 프로젝트
4. LGPL License (Lesser GPL)
LGPL은 GPL보다 느슨합니다.
- ✅ 라이브러리 링크만 하면, 내 소스코드는 공개하지 않아도 됨
- ❗ 하지만 라이브러리 자체 수정하면 그 부분은 공개해야 함
요약:
라이브러리만 쓰는 건 자유, 수정한 건 공개해라.
적합한 경우: 상업용 소프트웨어에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사용
5. Creative Commons (CC BY, CC BY-NC 등)
Creative Commons는 주로 콘텐츠, 데이터, 미디어에 사용됩니다.
종류 | 특징 |
CC BY | 저작자 표시만 하면 자유롭게 사용 가능 |
CC BY-SA | 저작자 표시 + 동일 라이선스로만 재배포 가능 |
CC BY-NC | 저작자 표시 + 비상업적 사용만 가능 |
CC0 | 퍼블릭 도메인 (저작권 포기) |
요약:
텍스트, 사진, 데이터 등에 적합한 라이선스. "BY"면 저작자 표시, "NC"면 비상업적만.
라이선스 선택 가이드
내가 오픈소스를 만든다면 ...
상황 | 추천 라이선스 |
마음껏 쓰고 싶음 | MIT, Apache |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동참 | GPL |
라이브러리만 쓰고 싶음 | LGPL |
데이터/콘텐츠 공유 | CC BY, CC BY-NC |
GPT가 글을 잘 정리해 주는데 표는 좀 수정하기 귀찮긴 하네요. 그래도 새로운 정보에 대한 확인은 손쉬워 항상 많은 도움이 됩니다. :)
'개발 이야기 > 개발툴 및 기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에서 npm 설치 문제 (0) | 2025.04.28 |
---|---|
GPL v2 / v3 차이점 (0) | 2025.04.28 |
windows/vscode에서 venv 생성 오류 발생 시 (0) | 2025.04.14 |
WSL2 Ububtu에 ollama/deepseek 설치 및 실행 (0) | 2025.02.06 |
보안망에서 FastAPI에 Swagger UI 설정방법 (0)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