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JS
- Python
- MySQL
- Linux
- 투자
- docker
- unity
- nodejs
- 구글
- app
- 분석
- gemini
- AWS
- 주식
- ChatGPT
- 바보
- 재테크
- elasticsearch
- LLM
- error
- JavaScript
- Ai
- 유니티
- FLUTTER
- API
- MSSQL
- 설정
- Kibana
- Windows
Archives
- Today
- Total
가끔 보자, 하늘.
Linux 시스템 사양 확인 commands 본문
dmidecode 혹시 lshw 두 가지를 주로 사용합니다. lshw는 일반유저로도 일부 정보는 볼 수 있으나 상세한 확인을 위해서는 둘 다 super user 계정 혹은 sudo로 실행하세요.
CPU 정보
> lscpu
혹은
> dmidecode -t processor
마더보드
> dmidecode -t baseboard
메모리
> dmidecode -t memory
저장매체
# 물리장치, 장치 별 파티션 정보 확인
> lsblk
# rota 가 0이면 SSD , 1이면 HDD
> lsblk -d -o name,rota
# 볼륨그룹 정보 조회
> vgs
# 논리볼륨 정보 조회
> lvs
# 사용량 상세 정보 조희
> df -h
# 폴더별 용량 조희
> du -hs 폴더명
그래픽 카드
> lshw -C display
반응형
'개발 이야기 >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에 SSD 추가하기 (0) | 2023.09.21 |
|---|---|
| Docket Desktop에서 elasticsearch 가동하기 (0) | 2023.09.21 |
| CentOS 7에서 yum 관련 ius host 못찾는 에러 해결하는 방법 (0) | 2023.03.22 |
| S3 Glacier 에 데이터 백업하기 (0) | 2022.10.13 |
| 보안망/Offline 시스템에 Docker 설치하기 (0) | 2022.09.26 |